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특허심사2

[IP실무자노트] 심사청구 타이밍 전략! 심사청구 유예제도 [IP실무자노트] 심사청구 유예제도 – 출원은 했지만 심사 미루고 싶다면?✅ 목차1. 심사청구제도란?2. 왜 심사를 바로 청구하지 않을까?3. 심사청구 유예제도란?4. 실무자가 알아야 할 주요 조건5. 제도 활용 시 장단점6. 이런 경우에 심사청구 유예를 고려하세요7. 마무리 한 줄 정리1. 심사청구제도란?한국 특허제도에서는 출원만 한다고 자동으로 심사가 진행되지 않아요.출원 후, 일정 기간 내에 별도로 ‘심사청구’를 해야 심사관이 실제로 출원 내용을 검토하게 됩니다.현재 기준으로는 출원일로부터 3년 이내에 심사청구를 하지 않으면 출원은 취하된 것으로 간주돼요.💡 TIP: 심사청구는 출원인이나 이해관계자 누구나 가능하며, 수수료 납부도 필요합니다.  2. 왜 심사를 바로 청구하지 않을까?모든 특허가 바.. 2025. 4. 10.
[IP실무자노트] 특허 출원 심사; 우선심사 vs 일반심사 [IP 실무자 정리] 특허 출원의 중간 단계 – 심사에 들어가기 전까지 (6~9단계) ✅ 목차방식심사: 서류부터 제대로 접수됐는지 확인공개: 출원 18개월 후 자동 공개심사청구: 심사를 원한다면 신청 필수실체심사: 진짜 ‘특허가 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일반심사 vs 우선심사우선심사 신청이 가능한 경우선행기술조사 기관 안내마무리 한 줄 정리 1. 방식심사: 서류부터 제대로 접수됐는지 확인 출원서가 제출되면 특허청에서는 형식적 요건이 충족됐는지를 심사해요.이걸 방식심사라고 해요.이 단계에서는 발명의 내용 자체는 보지 않고, 기본적인 기재사항 누락이나 서류 오류 여부를 중심으로 확인합니다. 명세서, 청구항, 요약서, 도면 등이 규정된 형식에 맞게 작성되었는지출원인 정보, 대리인 정보, 발명자 정보가 정확.. 2025. 4. 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