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특허출원6

[IP실무자노트] 심사청구 타이밍 전략! 심사청구 유예제도 [IP실무자노트] 심사청구 유예제도 – 출원은 했지만 심사 미루고 싶다면?✅ 목차1. 심사청구제도란?2. 왜 심사를 바로 청구하지 않을까?3. 심사청구 유예제도란?4. 실무자가 알아야 할 주요 조건5. 제도 활용 시 장단점6. 이런 경우에 심사청구 유예를 고려하세요7. 마무리 한 줄 정리1. 심사청구제도란?한국 특허제도에서는 출원만 한다고 자동으로 심사가 진행되지 않아요.출원 후, 일정 기간 내에 별도로 ‘심사청구’를 해야 심사관이 실제로 출원 내용을 검토하게 됩니다.현재 기준으로는 출원일로부터 3년 이내에 심사청구를 하지 않으면 출원은 취하된 것으로 간주돼요.💡 TIP: 심사청구는 출원인이나 이해관계자 누구나 가능하며, 수수료 납부도 필요합니다.  2. 왜 심사를 바로 청구하지 않을까?모든 특허가 바.. 2025. 4. 10.
[IP실무자노트] 특허 등록결정부터 설정등록공고까지 (12~15단계) [IP 실무자 정리] 특허 등록 완료까지의 마지막 절차 (12~15단계)✅ 목차등록결정: 심사관이 통과를 인정한 순간등록료 납부: 등록을 위한 마지막 필수 단계특허등록: 진짜 권리가 발생하는 시점설정등록공고: 세상에 공표되는 내 권리등록되지 못하는 경우는?IP 실무자가 확인해야 할 포인트마무리 한 줄 정리1. 등록결정: 심사관이 통과를 인정한 순간의견서 또는 보정서가 심사관에게 수용되면, 특허청은 ‘등록결정서’를 발행해요.이 단계는 사실상 심사가 완료되고 등록 가능성이 확정된 상태라고 보면 돼요.등록결정서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돼요:출원번호 및 명칭등록결정일자등록료 납부기한 (통상 3개월)납부 금액 (청구항 수에 따라 산정됨) 💡 등록결정이 났다고 해서 바로 특허가 등록되는 것은 아니에요.반드시 .. 2025. 4. 5.
[IP실무자노트] 특허 출원 심사; 우선심사 vs 일반심사 [IP 실무자 정리] 특허 출원의 중간 단계 – 심사에 들어가기 전까지 (6~9단계) ✅ 목차방식심사: 서류부터 제대로 접수됐는지 확인공개: 출원 18개월 후 자동 공개심사청구: 심사를 원한다면 신청 필수실체심사: 진짜 ‘특허가 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일반심사 vs 우선심사우선심사 신청이 가능한 경우선행기술조사 기관 안내마무리 한 줄 정리 1. 방식심사: 서류부터 제대로 접수됐는지 확인 출원서가 제출되면 특허청에서는 형식적 요건이 충족됐는지를 심사해요.이걸 방식심사라고 해요.이 단계에서는 발명의 내용 자체는 보지 않고, 기본적인 기재사항 누락이나 서류 오류 여부를 중심으로 확인합니다. 명세서, 청구항, 요약서, 도면 등이 규정된 형식에 맞게 작성되었는지출원인 정보, 대리인 정보, 발명자 정보가 정확.. 2025. 4. 3.
[IP실무자노트] 특허 출원; 명세서, 출원서 작성 (4~5단계) [IP 실무자 정리] 특허 출원 실무 – 출원서 작성부터 제출까지 (4~5단계)✅ 목차특허 출원서 작성: 발명을 권리화하는 첫 단계IP 실무자가 해야 할 주요 업무 (작성 단계)특허 출원서 제출: 드디어 출원의 시작마무리 요약1. 특허 출원서 작성: 발명을 권리화하는 첫 단계특허 출원서 작성은 단순한 문서 작업이 아닙니다.‘기술’을 ‘법적 권리’로 바꾸는 핵심 과정으로, 이 단계에서의 구성과 표현에 따라 나중에 특허권의 범위와 강도가 결정됩니다.출원서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청구범위 (Claims): 이 발명이 어떤 내용을 독점하고자 하는지를 정의명세서 (Specification):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배경,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구성 요소, 작용 효과 등을 포함도면 (Drawings).. 2025. 4. 3.
[IP실무자노트] 특허 출원의 시작, 아이디어부터 가능성 검토까지 (1~3단계) [IP실무자노트] 특허 출원의 시작, 아이디어부터 가능성 검토까지 (1~3단계)✅ 목차아이디어가 발명의 씨앗이 되는 순간선행기술조사: 아이디어가 정말 '새로운가?'특허 가능성 검토: 등록이 가능한지 전략적으로 따져보기마무리 한 줄 정리1. 아이디어가 발명의 씨앗이 되는 순간기술적 문제 해결 → 구체화 → 발명으로 전환특허 출원의 출발점은 단순한 생각이 아닌,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구체적 아이디어입니다.예를 들어 "물에 잘 녹는 약을 만들고 싶다"는 단순한 생각이 아닌, "A라는 기존 성분에 B 유화제를 첨가하면 수용성이 높아진다"와 같이 기술적 구성이 설명 가능해야 특허 가능성이 생깁니다.회사 내부에서는 기획, R&D, 마케팅 등 다양한 부서에서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으며, 이 아이디어를 발명으로 바꾸.. 2025. 4. 3.
[IP실무자노트] 특허 출원 전 과정 요약 (15단계) 특허 출원, 이렇게 진행됩니다!발명 아이디어가 생겼다고 바로 특허가 등록되는 건 아닙니다.실제로 특허 등록까지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며, 그 과정마다 중요한 판단과 전략이 필요합니다.오늘은 특허 출원의 전체 흐름을 간단히 소개해볼게요.1. 아이디어 도출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적 아이디어를 정리합니다. 단순한 생각이 아닌, 기술적으로 설명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화해야 해요.2. 선행기술조사이미 공개된 유사한 기술이 있는지 국내외 특허, 논문, 기술 자료 등을 검색해봅니다. 아이디어가 진짜 ‘새로운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입니다.3. 특허 가능성 검토아이디어가 특허 요건(신규성, 진보성,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충족하는지 검토합니다. 출원 전략도 이 단계에서 같이 세워요.4. 출원.. 2025. 4. 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