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편의점/IP실무자노트

[IP실무자노트] 특허 명세서의 실시예·비교예, 어떻게 써야 할까?

by 오히띠뚜리 2025. 4. 13.
728x90
반응형
SMALL


#특허 #특허명세서 #특허비교예실시예 #실시예비교예 #특허실시예 #특허비교예 #명세사 #특허명세사 #실시예작성 #비교예작성 #실용신안 #IP실무 #특허실무 #비교예작성법 #실시예작성법 #실시예비교예작성법 #특허명세서작성법 특허 특허명세서 특허비교예실시예 실시예비교예 특허실시예 특허비교예 명세사 특허명세사 실시예작성 비교예작성 실용신안 IP실무 특허실무 비교예작성법 실시예작성법 실시예비교예작성법 특허명세서작성법


[IP 실무자 정리] 특허 명세서의 실시예·비교예, 어떻게 써야 할까?



✅ 목차

  1. 실시예와 비교예, 왜 작성하는 걸까?
  2. 실시예 작성 시 기본 원칙
  3. 비교예 작성 시 유의할 점
  4. 자주 하는 실수 TOP 3
  5. 실무자가 챙겨야 할 작성 포인트
  6. 마무리 한 줄 정리

1. 실시예와 비교예, 왜 작성하는 걸까?

특허 명세서의 **‘실시예’(Examples)**는
말 그대로 출원 발명을 실제로 구현한 예를 제시하는 거예요.
그리고 **‘비교예’(Comparative Examples)**는
출원 발명이 아닌, 기존 기술(또는 발명 외 구성)을 구현한 예를 말하죠.

이 둘을 병행해 작성하는 이유는 단 하나,
출원 발명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예요.

💡 TIP: “내 발명이 기존 기술보다 왜 더 우수한지”를
실시예-비교예 데이터를 통해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게 핵심이에요.


2. 실시예 작성 시 기본 원칙

실시예는 단순한 사례가 아니라,
출원 청구항의 구성요소가 전부 반영된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써야 해요.

✅ 작성 시 고려할 요소

  • 청구항의 모든 구성요소가 포함되어야 함
  • 수치, 조건, 공정, 재료명 등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기재
  • 가능하면 정량적 결과도 함께 제시 (예: 점도, 강도, 수율 등)

예시)
“실시예 1: 100g의 A와 50g의 B를 혼합하여 8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필터링하여 얻은 물질의 점도는 1,500cP였다.”

💡 TIP: 단순히 “이런 것도 가능합니다” 수준이 아닌,
“이렇게 했더니 이런 결과가 나왔습니다” 수준으로 써야 해요.

728x90

3. 비교예 작성 시 유의할 점

비교예는 반드시 출원 발명과 차별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해요.
비교예 없이 효과만 주장하면 심사관이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어요.

✅ 비교예 작성 포인트

  • 출원 발명과 1~2가지 구성만 다르게 설정 (기준 통일)
  • 비교 항목은 결과 수치로 비교 (예: 내열성, 반응속도, 흡착력 등)
  • 너무 차이나는 조건은 피하고, 조건은 가급적 동일하게 맞추기

예시)
“비교예 1: 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에서 단지 A 대신 C를 사용했더니, 점도는 800cP로 현저히 낮았다.”

💡 TIP: “차이점이 한눈에 보이게” 작성하는 게 중요해요.
비교예 없이 효과만 말하면 단순한 주장으로 간주돼요.


4. 자주 하는 실수 TOP 3

❌ 1. 청구항에 없는 구성으로 실시예 작성
→ 심사관: “이건 발명을 설명하는 게 아니라 새로운 걸 한 거 아님?”

❌ 2. 비교예가 없거나 너무 극단적인 조건 사용
→ “차이가 나는 건 당연한 조건이잖아?”라는 반박 가능

❌ 3. 효과 비교를 수치 없이 추상적으로 표현
→ “우수하였다, 향상되었다” 등만으로는 거절 사유될 수 있음

반응형

5. 실무자가 챙겨야 할 작성 포인트

  • 최소 1개 이상의 청구항을 충실히 구현한 실시예 필요
  • 효과가 입증되도록 비교예와 함께 정량적 수치 비교 제시
  • 가능한 경우, 표 또는 그래프로 효과 차이 시각화
  • 심사관의 반론 가능성 고려해, 비교항목/조건 논리적 설계
  • 특허 등록 이후에도 기술적 근거자료로 활용 가능하므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기반으로 작성할 것

💡 TIP: 작성한 실시예·비교예는
출원 후 거절이유 통지 시 의견서에서 보완자료로도 재사용 가능해요.


🔚 마무리 한 줄 정리

  • 실시예와 비교예는 단순한 참고 자료가 아니라, 출원 발명의 효과를 입증하는 핵심 증거다.
  • 구체적이고 수치 기반의 작성이 필수이며, 논리적인 차별성과 우월성 설계가 등록 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 실무자는 청구항과 효과를 함께 엮어 **“이 구성 덕분에 이런 결과가 나온다”**는 구조로 명세서를 설계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